2011년 4월 28일 목요일

후덜로이드 강좌 - miui의 a2sd+ (a2ext) 세팅법

* 번외편, miui의 a2sd+ 세팅

(제가 올려둔 MIUI_HD2-1.4.22K_D2EXT 을 설치 하신분들은 꼭 번외편 sd카드 파티셔닝을 해주시길 바랍니다.)


a2sd 란?
(app to sd card 의 약자)
내부 낸드 메모리 용량이 부족한 안드로이드 기기를 위하여 만들어진 방법입니다.
한국 정발 skt hd2는 낸드 메모리가 448M박에 되지 않습니다.
(t모바일 버전-미국 은 1G 의 낸드 메모리를 가지고 있어서 낸드로이드에 있어서 우월합니다.)
그래서 한국 정발 hd2에는 낸드로이드를 설치후 어플을 조금이라도 많이 설치 할경우 에러메세지를 내뿜으며 사용하기 힘들어지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d카드를 2개의 파티션을 나누어 한쪽에는 일반적인 데이터 저장을 한쪽에는 낸드 메모리인거처럼 인식하게끔 만들어서 응용프로그램을 그곳에 저장하게 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이방식은 롬에서 기본적으로 지원을 하지 않으면 설정하기 힘듭니다.
과거에 스크립트를 짜서 수동으로 설정하는 법이 있었습니다만 정말 사용하기 힘들었습니다. 에러도 많이나구요
하지만 이 강좌에서는 d2sd를 지원하는 miui버전을 가지고 sd카드 파티셔닝 하나만으로 설정없이 간단하게 d2sd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d2ext 나 a2sd 등의 설정이 되지 않은 롬에서는 파티셔닝을 해도 소용이 없으니 주의하세요

*d2sd
a2sd와 비슷하지만 d2sd는 안드로이드 app설치시 생성되는 data와 app 폴더 모두를 sd카드로 옮기는 방식 입니다.
a2sd는 app폴더만 옮기는 방식입니다.

app설치시 d2sd는 내부 롬에 저장공간을 전혀 사용하지 않지만
a2sd는 조금씩 갉아 먹게 됩니다.
결국 나중에는 용량이 부족하다고 메세지가 뜨게 됩니다.

* 강좌에서 쓰인 miui 버전은 d2ext 방식이지만 잘모르시는분들이 헷갈려 할까봐 d2sd라고 적었습니다.
별차이는 없습니다. (d2ext 와 d2sd 차이는 파티션을 나누느냐 마느냐에 차이 입니다 약간의 속도차이가 있다고 합니다. 물론 d2ext가 약간 더 빠르다고 합니다.)

*** 주의 ***

파티션 분할 작업이므로 sd 카드의 내용은 전부 날아가게 됩니다. 
꼭 백업을 먼저 하시길 바랍니다.

초기부팅시 전원버튼을 꾹 누르고 MAGLDR 을 띄운후
8. ad recovery 를 통해 clockworkmod 로 진입
(저는 miui설치후 바로 파티셔닝 작업하는 사진을 찍었기 때문에 아래 롬에 관련된 하얀글자가 보입니다. 원래 안보이는게 정상입니다.)


진행순서

advanced 선택

patition sd card 선택

ext size 용량을 설정합니다.
보통 1024정도 하고 많이 쓰실려면 2048을 선택합니다
.


스왑파일은 0으로 선택합니다.


몇분정도 기다리시면.. 완료됩니다.


clockworkmod 처음 메뉴로 가셔서 재부팅하시면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